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최하는 2025년 전기기능사 시험일정을 안내해드리고 전기기능사 시험 합격률과 실제 합격한 수업생의 합격후기를 포스팅하겠습니다. 전기기능사 공부 하시는 수험생 여러분 올해 꼭 합격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전기기능사란?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으로 하여금 전기기기를 제작, 제조 조작, 운전, 보수 등을 하도록 하기 위해 자격제도 제정하였습니다. 수행직무는 전기에 필요한 장비 및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기, 정지기, 제어장치 또는 빌딩 ,공장, 주택, 및 전력시설물의 전선, 케이블, 전기기계 및 기구를 설치, 보수, 검사, 시험 및 관리하는 일을 하며 진로는 발전소, 변전소, 전기공작물시설업체, 건설업체, 한국전력공사 및 일반사업체나 공장의 전기부서, 가정용 및 산업용 전기 생산업체, 부품제조업체 등에 취업하여 전기와 관련된 제반시설의 관리 및 검사업무 보조 및 담당할 수 있습니다.
설치된 전기시설을 유지·보수하는 인력과 전기제품을 제작하는 인력수요는 계속될 전망이며, 새롭게 등장하는 신기술의 개발로 상위의 기술수준 습득이 요구되므로 꾸준한 자기계발을 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2025년 시험일정
1회는 지났으므로 2회부터 안내드리겠습니다.(사진은 잘 안나왔으니 참고만 해주세요.)
구분 | 필기원서접수 | 필기시험 | 필기합격 | 실기원서접수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2025년 정기 기능사 2회 |
2025.03.17 ~ 2025.03.21 |
2025.04.05 ~ 2025.04.10 |
2025.04.16 | 2025.04.21 ~ 2025.04.24 |
2025.05.31 ~ 2025.06.15 |
2025.06.27 |
2025년 정기 기능사 3회 |
2025.06.09 ~ 2025.06.12 |
2025.06.28 ~ 2025.07.03 |
2025.07.16 | 2025.07.28 ~ 2025.07.31 |
2025.08.30 ~ 2025.09.17 |
2025.09.26 |
2025년 정기 기능사 4회 |
2025.08.25 ~ 2025.08.28 |
2025.09.20 ~ 2025.09.25 |
2025.10.15 | 2025.10.20 ~ 2025.10.23 |
2025.11.22 ~ 2025.12.10 |
2025.12.19 |
2024년 합격률
전기기능사 시험은 비전공자가 도전하기 까다로운 시험에 속합니다. 2024년에는 필기시험에 61,127명 응시하여 22,133명만 합격하여 합격률이 36.2%밖에 되지 않습니다. 실기시험은 필기시험에 비해 합격률이 높은데 2024년 기준 32,762명 응시하여 23,769명 합격하여 합격률이 72.6%였습니다.
최근 20년 통계를 봐도 필기시험 합격률은 30%를 넘은 해가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수험공부를 하실때 필기 과목 준비를 철저히 하셔야 합니다.
합격수기
시험에 합격한 합격수기를 잘 보시면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 큰 도움을 받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 인터뷰 1: 김민수(30세, 비전공자, 자영업)
Q. 전기기능사 자격증은 어떻게 준비하게 되셨나요?
A. 원래는 기계 쪽에서 일했는데, 전기 분야 쪽도 손댈 일이 생겨 자격증이 필요했어요. 전기 전공은 아니지만 자격증 하나쯤 있으면 현장에서 유리할 것 같아서 시작하게 됐죠.
Q. 공부는 어떻게 하셨나요?
A. 완전 독학이었어요. 유튜브에 필기 강의 많은데, 그 중에 이해 잘되는 걸 골라서 반복해서 봤어요. 기초 이론서 하나 사서 회로, 법규 위주로 정리했고, 기출문제는 최소 3회독 이상 했습니다.
Q. 가장 어려웠던 점은?
A. 전기기호나 배선도 보는 게 처음엔 너무 어렵더라고요. 처음에는 의미도 몰랐는데, 계속 반복하다 보니 조금씩 눈에 들어왔습니다.
Q. 비전공자로서 느낀 점은?
A. 처음엔 두려웠지만, 기초부터 차근차근하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포기만 안 하면 누구나 딸 수 있는 자격증이에요.
✅ 인터뷰 2: 이지은(35세, 직장인, IT업종)
Q. 바쁜 직장 생활 중에 어떻게 자격증을 준비하셨나요?
A. 퇴근 후 한두 시간씩 시간을 쪼개서 공부했어요. 평일엔 주로 필기 이론 보고, 주말엔 기출문제 풀면서 정리했습니다. 공부 기간은 약 2개월 정도였어요.
Q. 필기와 실기 중 어떤 부분이 더 어려우셨나요?
A. 실기가 훨씬 어려웠어요. 손으로 직접 배선 작업을 해야 하는데, 영상만 봐선 한계가 있더라고요. 그래서 주말반 학원 수업을 2주 정도 듣고 감을 잡았습니다.
Q. 어떤 교재나 자료를 사용하셨나요?
A. 필기는 'N사 기출문제집' 하나로 끝냈고, 실기는 유튜브 실습 영상 + 학원 교재로 준비했어요.
Q. 직장인들에게 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A. 체계적으로만 하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처음엔 부담이 되지만, 하루 1~2시간씩 꾸준히 하면 두 달 안에 딸 수 있어요.
✅ 인터뷰 3: 박재훈(26세, 취업 준비생, 전공자)
Q. 전공자라서 좀 더 수월하셨을 것 같은데 실제는 어땠나요?
A. 이론은 익숙했지만, 실기는 또 다른 영역이더라고요. 실제 배선작업은 손이 익을 때까지 반복이 중요했습니다.
Q. 실기 준비는 어떻게 하셨나요?
A. 학원 다녔습니다. 혼자 하다가는 배선 순서나 시간 안배 같은 걸 익히기 힘들거든요. 학원에서 실습 위주로 훈련하면서 자신감을 얻었어요.
Q. 시험장에서 기억에 남는 점은?
A. 실제 시험에선 시간 관리가 제일 중요했어요. 천천히 정확히 하려고 했지만, 막판엔 시간이 부족해서 초조했습니다. 연습할 때 시간 체크는 필수예요.
Q. 취업을 준비하며 자격증 취득의 의미는?
A. 확실히 가점도 되고, 자기소개서에 쓸 수 있어서 좋습니다. 실무에서도 바로 써먹을 수 있어서 자산이 된 느낌이에요.
끝으로
전기기능사는 전기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취득하는 자격증입니다. 전기기능사에서 끝이 아니라 전기공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 전기산업기사, 전기기사 자격증 취득의 첫단계이니 계속 공부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