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은 교육부 교시 제2022-33호로 고시되었습니다.(2022년 12월 22일)
이 교육과정은 초⋅중등교육법 제23조제2항에 의거하여 고시한 것으로, 초⋅중등학교의 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중등학교에서 운영하여야 할 학교 교육과정의 공통적이고 일반적인 기준을 국가 수준에서 제시한 것입니다.
교육과정 기준의 성격
가. 국가 수준의 공통성을 바탕으로 지역, 학교, 개인 수준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과정의 기준과 내용에 관한 기본사항을 제시한다.
나. 학교 교육과정이 학생을 중심에 두고 주도성과 자율성, 창의성의 신장 등 학습자 성장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기준과 내용을 제시한다.
다. 학교의 전반적인 교육 체제를 교육과정 중심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기준과 내용을 제시한다.
라. 학교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교육 목적의 실현을 위해 학교와 시⋅도 교육청, 지역사회, 학생⋅학부모⋅교원이 함께 협력적으로 참여하는 데 필요한 사항을 제시한다.
마. 학교 교육의 질적 수준을 국가와 시⋅도 교육청, 학교 수준에서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해 기반으로 삼아야 할 교육과정의 기준과 내용을 제시한다.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
국가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과 중점을 설명하고, 이 교육과정으로 교육을 받는 사람이 갖출 것으로 기대하는 모습과 중점적으로 기르고자 하는 핵심역량 및 교육 목표를 제시합니다. 핵심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에서는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배경과 이에 따른 개정 중점을 제시한다.
- ‘추구하는 인간상’은 초⋅중등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갖출 것으로 기대하는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교육의 본질과 방향을 제시하는 기능을 한다.
- ‘핵심역량’은 추구하는 인간상을 구현하기 위해 학교 교육의 전 과정을 통해 중점적으로 기르고자 하는 능력이다.
- ‘학교급별 교육 목표’는 추구하는 인간상과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초⋅중⋅고등학교별로 달성 하기를 기대하는 교육 목표이다.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은 사회 변화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개정되고 발전해 왔습니다. 우리 사회는 새로운 변화와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과정을 개정할 필요성이 제기되었죠. 교육과정의 변화를 요청하는 주요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따른 디지털 전환, 감염병 대유행 및 기후⋅생태환경 변화, 인구 구조 변화 등에 의해 사회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
둘째, 사회의 복잡성과 다양성이 확대되고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력의 필요성이 증가 함에 따라 상호 존중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셋째, 학생 개개인의 특성과 진로에 맞는 학습을 지원해 주는 맞춤형 교육에 대한 요구가 증가 하고 있다.
넷째, 교육과정 의사 결정 과정에 다양한 교육 주체들의 참여를 확대하고 교육과정 자율화 및 분권화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그동안의 교육과정 발전 방향을 계승하면서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삶을 이끌어가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합니다.
이 교육과정은 우리나라 교육과정이 추구해 온 교육 이념과 인간상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함양하여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으로 성장하게 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를 위한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디지털 전환, 기후⋅생태환경 변화 등에 따른 미래 사회의 불확실성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자신의 삶과 학습을 스스로 이끌어가는 주도성을 함양한다.
나. 학생 개개인의 인격적 성장을 지원하고, 사회 구성원 모두의 행복을 위해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며 협력하는 공동체 의식을 함양한다.
다.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 다. 모든 학생이 학습의 기초인 언어⋅수리⋅디지털 기초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하여 학교 교육과 평생 학습에서 학습을 지속할 수 있게 한다.
라.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학습을 주도적으로 설계하고, 적절한 시기에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자 맞춤형 교육과정 체제를 구축한다.
마. 교과 교육에서 깊이 있는 학습을 통해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과 간 연계와 통합, 학생의 삶과 연계된 학습, 학습에 대한 성찰 등을 강화한다.
바. 다양한 학생 참여형 수업을 활성화하고, 문제 해결 및 사고의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를 통해 학습의 질을 개선한다.
사. 교육과정 자율화⋅분권화를 기반으로 학교, 교사, 학부모, 시⋅도 교육청, 교육부 등 교육 주체들 간의 협조 체제를 구축하여 학습자의 특성과 학교 여건에 적합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2025학년도 입학생부터 적용되는 2022 개정교육과정이 학교에 잘 안착되어 학생들을 훌륭한 인간으로 성장 시킬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총론 PDF 파일이 필요하신 분들은 다음을 클릭하시길 바랍니다.